본문 바로가기
공부하는 이야기

[직장인 국제FRM 도전기 4] 저도 경력인증 되나요?

by Traum1 2022. 4. 17.
반응형

3편에서 이어집니다.

 

 

[직장인 국제FRM 도전기 1] part1, part2, 동차 응시의 결과

1. 준비를 시작하며 필자는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직원이며, 금융 관련 비전공자이다.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이상 어느 정도 수준의 금융 지식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고 자기개발

traum1.tistory.com

 

[직장인 국제FRM 도전기 2] part1, 재도전할 용기

1편에서 이어집니다. [직장인 국제FRM 도전기 1] part1, part2, 동차 응시의 결과 1. 준비를 시작하며 필자는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직원이며, 금융 관련 비전공자이다.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이상

traum1.tistory.com

 

[직장인 국제FRM 도전기 3] part2, 포기하지 않았기에

2편에서 이어집니다. [직장인 국제FRM 도전기 1] part1, part2, 동차 응시의 결과 1. 준비를 시작하며 필자는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직원이며, 금융 관련 비전공자이다. 금융회사에서 일하는 이상

traum1.tistory.com

Certified Financial Risk Manager
Certified Financial Risk Manager

 

1. 경력인증 조건

FRM part1 part2 모두 합격한 사람은 part2 합격 이후 5 내로 2 이상의 실무 경력을 인증해야 자격증을 발급받을  있다. 경력인증이 가능한 직무는 금융권의 대부분 직무비금융권의 재무 관련 직무  매우 폭넓다. 필자의 경우 part2 합격 당시 이미 금융회사에서 2 이상 일하고 있었기 때문에 바로 경력인증을 신청했다합격 이전의 경력도 인증 가능한지에 대해 헷갈리는 부분이 있었으나 우선 기존 경력을 바탕으로 신청해보았다.

2. 작성 방법

Garp 홈페이지 메뉴를 따라 회사, 상사 이름 전화번호  정보를 기입하면 된다가장 껄끄러운 부분은 job description 항목을 작성하는 것이다필자는 하고 있는 주요 업무를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고 그에 대한 세부사항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작성했다. FRM 커리큘럼에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었던 지급여력 제도 관련 업무감독기관 요구 대응 업무 등을 연계하여 작성했다 백자 분량으로 간단히 제출한 사람들도 있는 듯싶었지만, 필자는 탈락할지도 모른다는 걱정에  번에 끝내자는 마음으로 영어로 1,000글자 내외를 작성하여 제출했다.

반응형

 

3. 인증 완료  자격증 배송
Garp 홈페이지에 경력인증 요청을 올리고 나서     인증이 완료되었다는 이메일이 왔다경우에 따라  달씩 걸린 사람도 있다고 한다또한 번에 통과되지 못할 경우 재작성하여 다시 신청해야 하므로 정확한 인증 시점을 가늠하기는 힘들다인증이 완료되면 홈페이지에 작성했던 주소로 국제택배를 통해 자격증이 배송된다결과적으로 영어 주소를 보고 한국인이 집으로 배송하게 되므로홈페이지   주소에 오타가 없는지    확인해보기를 권장한다필자의 경우 인증 완료  2 정도  자격증이 도착했다네 달 정도 걸린 사람도 있었다안전하게 배송이 끝나면 FRM 시험과 관련된 모든 과정이 비로소 끝난다이후로는 특별한 일이 없으면 Garp 홈페이지를 들낙거릴 일도 거의 없다.

4. 마치며

모든 과정을 마친 입장에서 FRM 취득을 추천하느냐라고 묻는다면 자기개발 목적일 경우 추천한다고 대답하겠다. FRM 커리큘럼이 상당이 알차다재무와 관련된 기본 지식부터 통계리스크  금융공학의 다양한 부분을 공부할  있다금융이나 리스크에 관심이 많고 공부해보고 싶은 사람에게 충분히 추천할 만하다. 하지만 취직이직 등을 위해 뭐라도 따겠다는 목적으로 FRM 취득하려 한다면 투자한 비용, 시간 대비 확실히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필자가 FRM을 취득한 이후로 취직이나 이직을 시도해 본 적이 없기도 하지만리스크 관련 직무가 아니라면 FRM 자격증 자체를  모르는 사람도 많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하지만 취득한 사람이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가치는 충분히 달라질  있을 것이다.

 

국제FRM
국제FRM 공부자료

 

끝.

반응형

댓글